유용한 정보/궁금정보

우리나라 대나무 분포 면적과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미쑝 2016. 11. 8. 03:00
반응형

우리나라 대나무 분포 면적과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우리나라 대나무 자원의 종류별 자원량 등이 11월 4일 국내 최초로 발표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이 대나무의 자원화를 위해 산림청 산림자원과의 협력 지원 아래 요 대나무 종류의 생육공간범위를 추출하고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추정한 결과다. 


아울러 세계 최초로 대나무 측정단위를 표준화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중량)을 산출ㆍ평가, 분포 특성에 따른 대나무 자원 조성 및 관리를 위한 산림경영단위(0.5ha)의 공간정보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1.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83배에 달하는 24,111헥타르(ha이다. 


대나무 자원의 전체 분포면적 24,111ha 중 산죽(조릿대) 등 기타 죽종을 제외한 경제적으로 가치가 높은 솜대(淡竹), 왕대, 맹종죽(孟宗竹) 분포면적은 22,998헥타르(ha)로,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의 0.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매스 총량은 462,352톤(ton)으로 추정되었다.


대나무 자원의 분포 면적 범위는 0.5ha 미만의 대나무 숲이 11,808ha로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51.3%)을 차지했으며, 대부분 소면적(1ha 미만)의 분포 형태를 보였다.


2.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대나무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대나무는 솜대(淡竹), 왕대, 맹종죽(孟宗竹), 죽종혼효(왕대+솜대 혼합)로, 분포범위는 죽종혼효(45.7%), 솜대(26.9%), 왕대(26.2%), 맹종죽(1.3%) 순이다.


죽종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맹종죽이 24,158ton(83ton/ha), 왕대 213,912ton(35ton/ha), 솜대 224,282ton(36ton/ha)으로 추정되었다. 


▲솜대림 (출처 : 삼림청)


▲왕대림 (출처 : 삼림청)


맹종죽림 (출처 : 삼림청)


죽종혼효림(왕대+솜대) (출처 : 삼림청)



3. 이번 연구결과의 의미는?


70년대까지 활성화되었던 대나무 산업은 80년대 초부터 대량생산된 공산품들이 대나무 제품을 대체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이와 함께 대나무 자원들도 방치되어왔다. 


이번 연구결과로 대나무의 지역별, 산림생산력지수별, 분포유형 구분 등 다양한 생육특성별 자원량(면적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의 수치화가 가능해져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대나무 자원의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