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인천상륙작전일(1950.9.15.)과 서울수복일(1950.9.28)을 맞아 9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 “기록으로 보는 인천상륙작전과 서울수복”으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22일부터 홈페이지에 서비스 했다.
다음은 홈페이지에 공개된 사진 등 기록물.
△ 인천상륙작전 후 김포로 이동 중인 맥아더 장군과 해병대원들(1950)
△인천상륙작전 중 환자를 돌보는 해군 군의관(1950)
△인천상륙작전 중에 잡힌 북한 포로들(1950)
△인천상륙작전 중 아이에게 먹을 것을 주는 미군(1950)
△서울수복 과정에서 잡힌 북한군 포로들(1950)
△인천항에 내리는 미군 제7보병사단(1950)
△유엔군 서울입성을 환영하는 주민들(1950)
△인천상륙작전 후 인천으로 돌아오는 피난민들(1950)
△인천상륙작전 후 인천으로 돌아오는 피난민들(1950)
△인천상륙작전에서 잡힌 북한군 포로를 검색하는 미군(1950)
△물자보급을 위해 인천항에 정박한 연합군 전차상륙함(LST)(1950)
△인천상륙작전 후 인천의 길거리에 혼자 앉아 있는 아이(1950)
△이승만 대통령, 유엔군 최고사령관 맥아더 장군에게 태극무공훈장 수여(1950)
△서울수복 후 태극기게양 재현(1954)(16)
△9.28 서울수복 기념행진(1958)(17)
△ 9.15 인천상륙 10주년 기념식(1960)(18)
△9.28 서울수복 기념행사 사열식(1961)
△9.15 인천상륙 제14주년 기념식(1964)
△9.28 서울수복 기념 제3회 국제마라톤대회 우승자 인터뷰(1966)
△9.28 서울수복 재현(1966)
△9.28 서울수복 중앙청 국기게양 42주년 기념식(1992)
△인천상륙작전 기념조각(2001)
△<육군본부 작전명령 제174호> 1950년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위해 후방교란을 목적으로 한 장사상륙작전에 대한 육군본부의 작전명령서이다. 육군 직할 유격대장은 P장소에 상륙을 감행하여 적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제1군단의 작전을 유리하게 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 9.28 수도탈환 15주념 기념 우표(1965)
(*출처 : 국가기록원)
'유용한 정보 > 기록·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웨덴 아빠 사진전>으로 본 부모휴가제 (0) | 2017.10.12 |
---|---|
군함도 등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사진과 기록물 (0) | 2017.08.13 |
우리나라 지방자치 역사와 기록사진 (0) | 2017.07.16 |
<기록으로 보는 겨울나기 준비> 사진들 (0) | 2016.11.22 |
한국전쟁당시 피란수도 부산 희귀사진 공개 (0) | 2016.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