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1급 <넓적부리도요>, 울산서 발견
러시아에서 인공부화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넓적부리도요 1마리가 4500km 떨어진 국내의 해변에서 발견됐다.
▲넓적부리도요 이동거리와 예상 이동경로 :
번식지(러시아) - 기착지(한국) - 예상 월동지(동남아시아, 인도 동부 지역의 연안 해안) (출처:환경부)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지난 9월 1일 울산광역시 북구의 한 해수욕장에서 러시아 추코트카 반도에서 인공부화된 <넓적부리도요> 1마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넓적부리도요>는 멸종위기 1급 야생생물로 러시아에서 인공부화되어 4500km 떨어진 국내의 해변에서 발견된 것이다. 자연부화된 젋적부리도요가 이따금 발견된 사례는 있으나 인공부화된 넓적부리도요가 발견된 것은 처음.
▲지난 2016. 9. 1 울산광역시 북구의 한 해수욕장에서 발견한 넓적부리도요 (출처:환경부)
도요과 조류인 넓적부리도요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극권과 알래스카 등에서 번식하며, 번식을 마친 개체는 우리나라, 일본 등을 거쳐 방글라데시,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서 겨울을 보낸다.
갯벌과 모래해안에서 생활하며, 독특한 주걱 모양의 부리가 특징이다. 이 부리를 지면에 대고 좌우로 움직이며 물 속에 사는 곤충을 빨아들이는 독특한 습성을 갖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생존 개체수가 500마리 미만인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에 멸종위기 위급종으로 등재됐다.
다음은 넓적부리도요에 대한 FAQ
넓적부리도요는 어떤 새인가
넓적부리도요는 부리 끝이 주걱모양이어서 다른 종과 혼동할 가능성이 없다. 최근 번식지역 상실, 중간기착지 및 월동지에서의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라면 10년 내 멸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넓적부리도요 외에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된 도요ㆍ물떼새는 어떤 종이 있나?
도요.물떼새 중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에는 넓적부리도요 외 청다리도요사촌이 있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에는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흰목물떼새가 있다.
국내에서 넓적부리도요의 보호를 위한 방안은?
우선적으로 우리나라의 도요.물떼새 도래지에서 넓적부리도요의 도래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이 중 넓적부리도요가 정기적으로 도래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서식지 특성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하는 동시에 보호지역 지정과 같이 법적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넓적부리도요의 이동경로에 있는 국가 간 협력체계를 통해 생태정보 공유 활성화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을 Ⅰ급과 Ⅱ급으로 나누어 환경부에서 246종을 지정·보호하고 있따.
넓적부리도요 증식프로그램은?
넓적부리도요의 번식시기 중 치사율이 가장 높은 알(egg)과 새끼(chick) 시기에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보호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넓적부리도요의 개체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2012년부터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내에 속한 여러 국제기구의 협력 체계로 러시아 추코트카(Chukotka)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다.
'유용한 정보 > 궁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위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특징과 수법 (0) | 2016.11.24 |
---|---|
우리나라 대나무 분포 면적과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0) | 2016.11.08 |
수능시험 부정행위자 적발 사례 (0) | 2016.11.07 |
수능시험, 이렇게 하면 부정행위…부정행위에 따른 제재는? (0) | 2016.11.07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로 얼마 지원받을 수 있나? (0) | 2016.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