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해자불명사고2

허위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주요 적발사례 허위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주요 적발사례 금융감독원이 허위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혐의자 881명을 적발해 11월 22일 발표했다. ☞ (바로가기) 다음은 허위 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주요 적발사례다. 1. 법인 차량의 상습적 처리 A법인은 2015. 9. 3일 경기도 소재 주차장에 주차한 회사 소속 스타렉스 차량 4대의 차량 표면이 누군가에 의해 긁혔다며 로 차량 1대당 2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처럼 2015.11.14일자에 8건의 사고를 일괄 접수했다. 보험회사는 사고접수지에 기재된 차량 4대의 사고장소 및 시간이 모두 동일하고 약 3개월 정도 지연접수 된 점 등 사고조작이 충분히 의심되는 건임에도 별다른 현장조사 없이 총 437만원의 보험금을 지급했다. A법인은 조사대상 기간 동안 법인소유 차량 16대에 대.. 2016. 11. 24.
허위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특징과 수법 허위조작 자동차 보험사기 특징과 수법 금융감독원이 기획조사를 통해 자동차 보험사기 혐의자 881명을 적발해 11월22일 발표했다. 이들은 차량 흠집 등을 사고에 의한 것처럼 허위 조작하는 수법으로 보험금 18억6천만원을 편취했다. 차량 흠집 등을 이유로 한 나 는 진위를 파악하기 어렵고 보통 2백만원 이하의 소액이어서 보험회사는 현장조사 없이 대부분 보험금을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해자 불명사고 : 주차한 차량이 누군가에 의해 긁히었다는 등 사고일자, 사고내용 및 가해자가 불명확한 사고단독사고 : 운전중 주차장 벽이나 기둥에 긁히었다거나 도로 턱에 부딪쳤다는 등 사고사실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사고 이런 이유로 정비업체가 “차량 전체를 무료로 도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보험처리를 적극 유혹.. 2016.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