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커피프렌차이즈, <빽다방>뜨고, <카페베네> 지고




커피 프랜차이즈 창업자를 위한 비교정보가 한국공정거래조정원과 공정거래위원회에 의해 발표됐다. 창업희망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요즘 뜨는 커피트랜드를 읽는 좋은 정보가 아닐 수 없다. 


비교가 된 프랜차이즈는 ▲이디야커피 ▲카페베네 ▲엔제리너스 ▲요거프레소 ▲투썸플레이스 ▲커피베이 ▲빽다방 ▲할리스커피 ▲탐앤탐스커피 ▲파스쿠찌다. 스타벅스는 직영점만을 운영하고 프랜차이즈 사업은 하고 있지 않아 비교대상에서 제외됐다고. 


다음은 10개 커피 가맹점의 주요 정보다. 



▣ 가맹점과 매출액


  • 가맹점수는 <이디야커피>가 1,577개로 가장 많다.


  • 가맹점 증가율과 가맹점 신규개점률은 <빽다방>(1,616.7%, 94.2%)이 가장 높다. 특히 <빽다방>의 가맹점수는 2014년 24개에서 2015년 412개로 대폭 증가하였고, 약 94%의 가맹점이 2015년에 신규개점됐다. 


  • 가맹점 폐점률은 <카페베네>(14.6%)가 가장 높다. 


  • 가맹점 연평균 매출액은 <투썸플레이스>가 약 4억 8,289만원으로 가장 높다. <투썸플레이스>가 대체로 타 브랜드의 가맹점들에 비해 매장 면적이 넓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 <투썸플레이스>, <카페베네>, <엔제리너스>, <파스쿠찌>와 같이 가맹점 면적이 대체로 130㎡를 넘는 브랜드의 가맹점 연평균매출액은 모두 3억원 이상이다. 반대로 가맹점 면적이 30㎡ 이하인 <요거프레소>와 <커피베이>는 약 1억원 가량.



▣ 가맹점 사업자의 부담 


  • <투썸플레이스>는 최초가맹금(가맹금, 교육비, 보증금 등)이 3,915만원, 인테리어, 설비 및 집기 등 비용은 2억 8,771만원으로 영업개시 이전 부담이 가장 높다. 상대적으로 넓은 매장면적 탓이기도 하다. 


  • 상대적으로 매장 면적이 넓지 않은 <커피베이>(26.4㎡)는 인테리어 등 비용이 4,169만원으로 가장 낮다. 


  • 창업비용 중 인테리어, 간판, 집기 및 설비 등 면적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비용을 가맹점 기준 면적으로 나누어 면적당 인테리어 등 비용을 산정해 보았을 때, <빽다방>이 805만원으로 가장 높고, <파스쿠찌>가 490만원으로 가장 낮다. 


  • 가맹점은 대부분 가맹본부에게 매월 최소 11만원부터 88만원, 또는 매출액의 2.5%부터 5%까지의 로열티를 지급하며, 광고비는 가맹점과 가맹본부가 분담하고 있다. 


  • 가맹점을 양수하는 경우 가맹점 양수인은 일정 금액의 교육비, 보증금 등 비용을 가맹본부에게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기존계약을 승계하지 않고 신규 가맹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가입비에 해당하는 가맹금을 추가로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 계약 조건


  • 계약기간은 최초 1년 내지 3년으로 시작하여, 최초 계약기간이 만료된 때에는 다시 1년 내지 3년 단위로 계약의 갱신이 이루진다. 


  • 영업지역은 대부분 가맹점 반경 100미터부터 500미터까지로 설정되어 있으며, 일부 브랜드는 계약 체결 시에 합의를 통해 정하고 있음(<이디야커피>, <할리스커피>, <파스쿠찌>)


  • 광고비(상품 관련 광고)는 가맹본부가 전부 부담하거나, 가맹점과 가맹본부가 균등하게 분담하고 있다. <이디야커피>, <카페베네>, <엔제리너스>, <빽다방>, <할리스커피>, <탐앤탐스커피>는 가맹본부가 전액 광고비를 부담하고 <요거프레소>, <투썸플레이스>, <커피베이>, <파스쿠찌>는 가맹점과 본부가 균등 분담한다. 





▣ 가맹본부의 일반 현황 (2015년 기준)


  • 성장성 측면에서 자산증가율은 “(주)이디야 [이디야커피]”(119.2%), 매출액증가율은 “(주)할리스에프엔비 [할리스커피]”(35.2%), 영업이익증가율은 “(주)더본코리아 [빽다방]”(73.3%)이 가장 높다. 


  • 안정성 측면에서 “(주)현진푸드빌 [요거프레소]”가 부채비율(35%)이 가장 낮고, 자본비율(74%)이 가장 높다.


  • 수익성 측면에서 “(주)이디야 [이디야커피]”가 영업이익률(12.1%), 매출액순이익률(9.7%) 및 자기자본순이익률(45%)이 가장 높다.


*출처 : 공정거래위원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