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외 주요국은 <캐시백 서비스>를 어떻게?



물품 결제와 동시에 현금인출이 가능한 <캐시백 서비스>가 내년에 본격 도입된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CD·ATM 관련 비용 없이 간편하게 소액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캐시백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중이다. 미국·캐나다, EU국, 호주·뉴질랜드, 러시아, 싱가포르 등이 이미 시행중이며, 일본은 올해 도입을 추진중이다. 


수수료는 각국의 금융환경에 따라 다양하며, 제휴조건(금융회사 및 가맹점)에 따라 서비스 제공 방식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해외 주요국의 캐시백 서비스 제공현황이다. 



미국 (1985년 도입)


  • 가맹점 주도로 서비스 개시
  • 대형마트 및 중소형 프랜차이즈 슈퍼마켓 등에서 이용가능(Walmart, Walgreens, Rite Aid, CVS 등)
  • 가맹점 27%가 제공, 직불결제 전체거래의 18%가 캐시백 거래 포함(비자코리아, 2007)
  • 인출한도는 도심지역 20달러, 교외지역 200달러 수준



영국 (1985년 도입)


  • TESCO에서 보유현금을 줄일 목적으로 최초 도입(최초의 캐시백)
  • 대부분의 슈퍼마켓 및 백화점에서 이용가능
  • 인출한도는 TESCO의 경우 50파운드 수준


유럽


  • 독일, 폴란드,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등 시행중
  • 각국 주요 유통업체 등에서 이용가능



호주 (1985년 도입)


  • 전체 소매거래의 20%가 캐시백 거래를 포함(비자코리아, ’07)



일본 (2017년 예정)


  • 일본 금융청 주도로, 도서산간 거주민 및 고령자를 위한 편리한 현금인출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추진중



싱가폴 (2001년 도입)


  • 일반기업인 NETS(Network for Electronic Transfers Singa- pore)에 의해 개시
  • 아울렛, 슈퍼마켓, 일반 소매점에서 시행



러시아 (2010년 도입)


  • 러 중앙은행이 현금보유량을 감소시키고, ATM 등 지급결제인프라 구축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도입 추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