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봉(총급여액)에 따른 소득공제 살펴보기

2016. 12. 20.
반응형

연봉(총급여액)에 따른 소득공제 살펴보기




총급여액이란 무엇인가? 비과세금액을 제외한 1년간의 근로소득금액 전체, 즉 우리가 말하는 연봉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다음은 총급여액과 관련된 공제항목



총급여액 5백만원 - 기본공제


  • 해당 과세기간에 소득금액 100만 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액 500만 원) 이하인 경우 기본공제가 가능하다



4천1백만원 - 부녀자 추가공제


  • 근로소득금액 3천만원(총급여액 41,470,588 원) 이하인 배우자가 있는 여성 또는 배우자가 없는 여성으로서 기본공제대상자인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인 경우 50만원 공제(한부모공제와 중복적용 배제) 가능하다. 



5천만원 - 주택자금공제


  • 거주자(개인)간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액 공제 가능하다.
  •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5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는 대부업 등을 경영하지 아니하는 거주자로부터 차입한 차입금(1,000분의 18보다 낮은 이자율로 차입한 자금이 아닐 것)에 대해 공제 가능



5천5백만원 -  연금계좌 세액공제 


  • 연금계좌 납입액의 12%를 세액공제(700만 원 한도, 연금저축은 400만원 한도)하나 총급여액 5,5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15% 세액공제된다. 



7천만원 -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 소기업 / 소상공인 공제에 가입한 법인 대표자의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경우 소득공제 가능하다. 



7천만원 - 주택마련 저축공제


  •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인 세대주가 납입한 금액의 40%를 공제한다. 2014년 이전 가입자 중 총급여액 7천만 원 초과자는 2017년까지 공제.



7천만원 - 월세액 세액공제


  •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로서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가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임차하기 위해 지급하는 월세액(750만원)의 10%를 세액공제



8천만원 - 장기집합투자 증권저축 소득공제


  • 2015년까지 가입한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납입액의 40%를 공제된다. 해당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8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공제 배제된다. 



총급여액 구간 - 근로소득 세액공제


  • 총급여액 3,300만원 이하 74만원 한도
  • 총급여액 3,300만원 초과 ~ 7,000만원 이하: 66만원 한도
  • 총급여액 7,000만원 초과 : 50만원 한도



총급여액 일정액 초과 -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연간 합계액이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금액의 15%(현금영수증 등은 30%, 2016년 상반기 본인 추가공제율 사용분은 20%)를 공제
  • 공제한도는 총급여액의 20%와 300만 원 중 적은 금액(한도초과금액이 있는 경우 전통시장 사용액, 대중교통 이용액을 각각 100만 원 한도로 공제)



총급여액 일정액 초과 - 의료비 세액공제


  • 본인, 기본공제대상자(나이・소득제한 없음)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가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금액의 15%를 세액공제


 (*출처 : 국세청)


<관련포스팅>

알면 도움되는 연말정산 절세팀과 체크포인트

연말정산 신청 유형에 따른 서비스 이용철차

국세청이 근로자와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연말정산 서비스

나이별(연령별) 소득공제항목

2016년 귀속 연말정산 개정세법 주요내용 요약

(2016년귀속) 자주묻는 연말정산 사례

연말정산 비과세 감면 오류 및 과다공제 주요 유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