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민대출, 서민적금, 서민보험 등 서민금융 상품 10선




다음은 금융감독원이 정리한 서민전용 금융상품 10선이다. 

서민대출 상품 5개, 서민적금 상품 3개, 서민보험 상품 2개 등 총 10개이다. 



서민대출 상품

  

1. 새희망홀씨 

  

  • 개요 : 은행이 취급하고 있는 대표적인 서민전용 대출상품. 1인당 2500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신용 6등급 서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금리는 연 6~10.5% 이내
  • 지원대상 : 연소득 3천만원 이하, 연소득 4천만원 이하이면서 신용 6~10등급
  • 취급기관 : 국내은행(15개) 영업점
  • 이용방법 문의 : 15개 은행 영업점(산업, 수출입은행 제외) 


 

2. 미소금용 

 

  • 개요 : 전국의 171개 미소금융 지점에서 취급하며 금리가 연 4.5%로 저렴하다. 특히 신용 7등급에 해당하는 서민들이 창업 또는 사업자금을 빌릴 때 많이 이용한다.
  • 지원대상 :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수급권자 및 차상위 계층 이하 등 (운영자금 최대 2천만원 등)
  • 취급기관 : 전국 171개 미소금융 지점
  • 이용방법 문의 : 서민금융진흥원(☎1397, www.kinfa.or.kr)


 

3. 햇살론 

 

  • 개요 : 농협‧신협 등 협동조합,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에서 취급하며 금리는 연 10% 미만이다. 생계‧사업‧대환자금 등 대출용도가 다양하며 신용 6~7등급 서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 지원대상 : 연소득 3천만원 이하, 연소득 4천만원 이하이면서 신용 6~10등급 (운영자금 최대 2천만원 등)
  • 취급기관 : 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 이용방법 문의 : 서민금융진흥원(☎1397, www.kinfa.or.kr)

 

 

4. 사잇돌대출

 

  • 개요 : 은행과 저축은행에서 1인당 2천만원까지 연 8%~15% 금리로 빌려주는 대출상품. 흔히 중금리대출이라고 부르며 금리 외에 평균 2.8~5.2% 수준의 보증요율이 부과된다. 
  • 지원대상 : 연소득 은행 2천만원, 저축은행 1500만원 이상 등 (최대 2천만원)
  • 취급기관 : 13개 은행 및 저축은행중앙회
  • 이용방법 문의 : 13개 은행(농협, 신한, 우리, KEB하나, 기업, 국민, 수협, 제주, 전북, 부산, 대구, 광주, 경남) 및 저축은행중앙회(☎3978-600, www.fsb.or.kr)



5. 바꿔드림론 


  • 개요 : 국민행복기금의 보증을 통하여 연 20% 이상의 고금리대출을 연 10.5% 이내의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대출상품입니다. 1인당 최대 3천만원까지 이용가능합니다.
  • 지원대상 : 연소득 3천만원 이하, 신용등급 6~10등급이면서 연소득 4천만원 이하 등 (최대 3천만원)
  • 취급기관 : 국내은행(15개) 영업점
  • 이용방법 문의 : 서민금융진흥원(☎1397, www.kinfa.or.kr), 국민행복기금(www.happyfund.or.kr), 15개 은행 영업점



서민적금 상품


6. 미소드림적금


  • 개요 : 일정금액(월 최대 10만원)을 저축하면 적금 만기시 적금이자의 3배를 받을 수 있는 상품
  • 지원대상 : 미소금융을 성실히 상환중인 자
  • 취급기관 : 우리, 국민, 신한, 하나, 기업은행 
  • 이용방법 문의 : 서민금융진흥원(☎1397, www.kinfa.or.kr)



7. 은행 저소득층 우대적금


  • 개요 : 연 3%~6.2%(최고 우대금리 기준) 수준의 고금리를 받을 수 있는 적금상품, 월 1천원~50만원 저축 
  •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소년소녀 가장, 만 65세 이상 차상위계층 등
  • 취급기관 : 국내은행(15개) 영업점 
  • 이용방법 문의 : 15개 은행 영업점(산업, 수출입은행 제외) 



8. 희망‧내일 키움통장


  • 개요 : 저소득 취업자, 자활근로사업단 성실참여자 등이 소득 중 일정금액(월 최대 10만원)을 매월 저축하면, 정부가 본인 저축액의 0.3~3배까지 추가로 적립해주는 상품 
  • 지원대상 : 저소득 취업‧창업자 수급가구 또는 저소득 근로자, 자활근로사업단 참여자 
  • 취급기관 : 읍‧면‧동 주민센터(희망) / 시‧군‧구 지역자활센터(내일) 
  • 이용방법 문의 : 보건복지콜센터(☎ 129, 홈페이지 www.hopegrowing.com)



서민보험 상품



9. 서민지원 소액보험 


  • 개요 : 차상위 한부모가족(조손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만 12세 이하 아동 등이 상해, 질병, 사망 등의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 보험료를 전액 지원받을 수 있는 상품
  • 특징 : 후유장애, 치료비  등 보장하는 보험료 전액 지급
  • 지원대상 : 차상위 한부모‧조손가족 및 다문화가족 12세 이하 아동 및 부양자 등 
  • 취급보험사(생보) :  교보생명, 삼성생명, 신한생명, 한화생명
  • 취급보험사(손보) : 동부화재, 롯데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현대해상,  한화손해보험, 흥국화재, KB손해보험
  • 이용방법 문의 : 서민금융진흥원(☎1397, www.kinfa.or.kr)



10. 서민우대 자동차 보험


  • 개요 : 보험료가 일반적인 보험보다 약 3~8% 저렴한 서민우대 자동차 보험상품으로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서민이 가입할 수 있다. 
  • 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이면서 중고자동차(5년 이상) 소유자 
  • 취급보험사 : 동부화재, 롯데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현대해상, 한화손해보험, 흥국화재, KB손해보험 AXA손해보험, 더케이손해보험
  • 이용방법 문의 : 취급 손해보험사 영업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