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길 /빙판길 안전운행 요령
안전거리 확보
눈길과 빙판길에서는 운전자의 시야에 각종 사물에 대한 인식이 어려워질 수 있고 마른 노면과 비교해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등 운행 중 위험요소가 증가한다. 따라서 반드시 앞 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서행하는 것이 제1원칙이다.
급제동 금지 및 엔진 브레이크 활용
눈길에서의 급제동은 자동차의 조향력을 잃기 쉽다. 아무리 고급 사양의 안전보조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라고 하더라도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급제동을 삼가는 것이 좋다.
가급적 감속 시에는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고 앞차와의 충분한 거리 확보를 통해 서서히 멈추는 것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브레이크를 사용할 때는 미리 브레이크를 살짝 밟아서 상태를 확인하고 주위 자동차에도 주의를 주는 것이 좋다.
스노우 체인 및 겨울용 타이어 사용
부득이한 눈길/빙판길 운행 시에는 스노우 체인을 미리 준비해 두었다가 사용하거나, 겨울용 타이어로 교체하여 운행하는 것이 좋다. 다만, 겨울용 타이어는 4계절용 타이어보다는 주행능력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주행소음이 발생하거나 연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급차선 변경/급가속 금지
핸들을 급격히 조작하는 급차선 변경은 평소 마른 노면에서의 운전 조건보다 어려움이 많으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매우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므로 금지해야 할 행동 중 하나이다.
2단 출발
바닥이 미끄러운 눈길/빙판길에서는 기어 1단에서의 출발은 미끄러짐을 유발할 수 있다. 저속에서는 바퀴에 전달되는 힘이 커 마찰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동변속기 자동차는 2단 출발, 자동변속기 자동차는 HOLD기능을 활용해 기어 2단과 3단에서의 운행을 통해 미끄러짐 예방과 서행 운전을 할 수 있다.
주간 전조등 점등
이 내리는 날에는 낮에도 맑은 날에 비해 어둡기 때문에 주위 자동차에 대해 자신의 자동차를 잘 인식시키는 것도 좋은 방어운전의 한 방법이다. 따라서 주간에도 전조등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운행 수칙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국토교통부)
'생활정보 > 알면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보험 5가지 필수 체크리스트 (0) | 2016.12.17 |
---|---|
자동차 블랙박스 사용시 주의사항 (0) | 2016.12.11 |
(그림으로 보는) 겨울철 자동차 점검ㆍ관리 요령 (0) | 2016.12.03 |
겨울철 자동차 관리·점검 요령 (0) | 2016.12.03 |
인천축제공항도 하이패스로 주차결제 가능 (0) | 2016.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