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적으로 암을 진단하는 과정은?

2017. 11. 6.
반응형

의학적으로 암을 진단하는 과정은?



의학적으로 암을 진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의 진찰


의사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증상에 대해 면밀히 진찰하고 관련 신체 부위를 체계적으로 검사한다. 


검사는 ▲병리조직검사 ▲내시경검사 ▲종양표지자검사 ▲영상진단검사(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 ▲핵의학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골스캔 ▲갑상선스캔 등이 있다. 



2. 병리조직 검사


이 중 병리조직검사,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조직검사가 가장 중요하다. 병리조직검사란 질병 등을 앓고 있는 인체조직을 떼어내어 현미경 관찰을 통해 질병명 확정에 필수적인 검사다. 


병리조직검사는 ▲암 진단 등에 활용 ▲수술 후 수술이 잘되었는지를 검사 ▲수술 후 침범의 정도와 림프절 전이를 판독하여 재발가능성을 예측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병리조직검사는 다음의 방법들이 있다.


  • 침생검 병리조직검사 : 침으로 길고 가늘게 뽑는 검사
  • 수술 병리조직검사 : 전신마취 상태로 수술하여 장기를 들어내는 검사
  • 피부펀치검사 : 피부를 조금 절개한 뒤 펀치로 잘라내는 검사
  • 내시경 병리조직검사 :내시경을 넣고 해당 부위를 오려내는 검사




병리조직검사는 ① 병리과에 조직검사 의뢰 → ② 육안관찰 : 사진촬영, 육안으로 특징 → ③ 조직슬라이드 제작 → ④ 현미경 관찰(병리의 수행)의 순으로 진행한다. 



3. 병리검사결과 보고


병리의는 환자의 몸에서 채취한 종양 세포의 크기와 모양, 세포구성물질, 세포분열정도 등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또 질병에 대한 전문자료, 다른 슬라이드 등을 참조하여 질병명(양성종양/악성종양, 저등급/고등급 등)을 진단 후 그 결과를 보고한다.



4. 암진단서 발급


임상의는 각종 검사결과·환자 예후·치료 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질병명, 분류코드 등을 기재한 진단서를 발급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