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보험에 자주 등장하는 치아 및 치과치료 용어
치아보험은 치과치료에 대한 전문용어를 보험약관에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보험가입 전에 전문용어와 약관에 기재된 용어의 정의를 충분히 이해한 후에 치아보험에 가입해야 향후 보험금 청구시 보험회사와 다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은 치아보험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설명
1. 보철치료
임플란트 (Implant)
임플란트점막 또는 골막층 하방, 그리고 골조직 내부 등의 구강조직에 이물 성형재료를 매식한 후 고정성 또는 가철성 보철물을 삽입하는 치료임
브릿지 (Bridge, 고정성가공의치)
치아와 치아 사이를 다리처럼 연결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치아가 결손이 되어 있을 때 결손이 된 부분에 대해 인접한 영구치를 지대치로 하고, 가공치를 지대치와 연결하여 구강 내에 영구접착 되어지는 보철물임
틀니 (Denture, 가철성의치)
국소의치총의치가철성의치, 일반적으로 틀니라고 말함. 영구치와 그와 연관된 조직이 결손이 되었을 때,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보철물을 장착하는 시술로서 국소의치와 총의치를 포함.
국소의치(부분틀니, Partial Denture)는 전체 치아가 아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와 그 관련조직의 결손을 수복해주는 보철물을 말하며, 금관, 지대치 혹은 다른 고정성 가공의치(Bridge) 및 점막에서 지지를 받음.
총의치(Complete Denture)는 영구치가 하나도 없는 환자에게 인공적인 방법과 수단으로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의치를 말하며, 영구치 또는 인공치의 치열 전체, 보통 상실한 영구치와 주위조직을 대신하는 인공 보철물임
2. 보존치료
충전(Filling of teeth)치료
충전영구치에 손상이 생기는 경우에 손상된 부위를 원상 회복시켜 형태학적, 기능적 복구를 도모하는 치료를 말하며, 치아에 재료를 직접 수복하는 직접충전과 구강 외에서 수복물을 제작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에 수복물을 접착하는 간접충전이 있음
크라운(Crown)치료
크라운치관장착(Crown)치료를 말하며 영구치에 손상이 생겨 삭제량이 많은 경우 또는 신경치료로 인해 영구치의 강도가 약해질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영구치의 전체를 금속 등의 재료로 씌우는 치료
3. 영구치발치치료
영구치는 총 28개(앞니 8개, 송곳니 4개, 어금니 8개)로 상/하악의 사랑니(제3대구치) 4개를 포함할 경우 최대 32개임.
4. 기타
치수
치아 내부 치수강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해 있음
치근
잇몸 안에 묻혀 있는 치아의 아래쪽 부분으로, 치조골 내에 심어져 있어 치아를 고정,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함
(*자료출처 : 금융감독원)
【관련 포스팅】치아보험 5가지 필수 체크리스트 (바로가기☞)
【관련 링크】치아보험 비교해보고 가입하기 (바로가기☞)
'생활정보 > 알면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음료 섭취가이드 (0) | 2016.12.18 |
---|---|
에너지음료 20종 꼼꼼 비교! (0) | 2016.12.18 |
치아보험 5가지 필수 체크리스트 (0) | 2016.12.17 |
자동차 블랙박스 사용시 주의사항 (0) | 2016.12.11 |
눈길ㆍ빙판길 안전운행 요령 (0) | 2016.12.04 |